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연잎이 큰가? 토란 잎이 큰가?"

문득 위와 같은 생각을 해 봤습니다. 모양만 놓고 본다면 비슷하지만 토란 잎은 좀 더 길죽하고 연 잎은 둥그스름 하죠. 과연 어느게 더 클까? 시흥 연꽃 테마단지(관곡지)를 가며 잠깐 다른 상상을 했습니다. 하나는 땅에서 자라고 하나는 물속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고.. 시골에서는 연은 보기가 힘들었고, 토란은 정말 많이 봤었죠.


5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곳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연꽃 테마파크에서 바라본 관곡지

<관곡지> 는 세조 9년 (1463년) 농학자인 강희맹 (1424~1483) 선생이 진헌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 남경(중국 상해 옆 도시)에 있는 전당지에서 전당연의 씨를 가지고 들어와 지금의 하중동에서 연 재배를 시작하여 점차 퍼지게 되었습니다.

시흥 연꽃 테마파크 얘기를 하지 않고 <관곡지>를 이야기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이곳이 관곡지 바로 옆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관곡지에서 시작된 연 재배가 지금의 테마단지가 형성이 됐다는 것이죠. 관곡지는 이전 포스트(아래링크)에서도 소개 했듯이 현재 <안동 권씨>집안에서 관리를 하고 있으며, 관곡지의 작은 연못에서 지금과 같은 대규모 연꽃 테마파크로 변모하게 되었습니다. (관곡지 내용 보러 가기)


시흥시 대표적인 관광 명소

시흥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떠오른 시흥 연꽃 테마단지는 19.3ha의 넓은 면적만큼이나 발을 들여놓는 순간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합니다. 활짝핀 연꽃과 수많은 수련, 그리고 짙푸른 연 잎이 가득한 연을 보고 있으면 "참 좋다"라는 말이 절로 나오게 만듭니다. 특히 어른들의 경우에 연 꽃을 좋아하시는 분이시라면 한걸음 한걸음 발걸음을 쉽게 떼지 못하시더군요.

이곳의 총 면적이 22.1ha라고 하니 넓긴 상당히 넓습니다. 물론 "끝이 안보일 정도"는 아닙니다만 중부권에서는 최대 연 생산지라고 하니 규모는 상당히 큰 편이죠.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몇 년전만해도 도로가 협소해서 주차하기가 힘들었는데 요즘은 도로가 확장되서 주차공간이 상당히 넓어졌습니다. 가까이 있는 물왕저수지, 시흥 갯골 생태공원 등에 여러 편의 시설을 확충한다고 합니다. 연 음식 거리등을 만든다고 하는데... 모쪼록 북적이는 관광지처럼만 만들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주변에 편의시설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올해보다는 2011년에 좀 더 편하고 좋은 볼거리, 먹거리를 누릴 수 있을 거라 보여집니다.

테마단지 안에는 작은 간이 매점이 있습니다. 생수와 간단한 기념품, 연 관련된 간단한 먹거리를 팔고 있으며 앉아서 쉴 수 있게끔 천막 아래 의자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연을 넣어 만든 가래떡을 사서 먹었는데 짭짤하고 쫄깃하니 아주 맛이 좋더군요. 하나 더 사다가 심심할 때 먹을껄 하는 아쉬움이 남는 맛이었습니다.

2010년 올해 다소 아쉬운 점이라면 간이 화장실이 늘어났지만 연꽃과 어울리지 않게 화장실 냄새가 심하게 나더군요. 또 다른 점으로는 간이 매점 외에 다른 것이 없어서 편안한 관람은 힘듭니다. 물론 이곳이 전문적인 관광지가 아니라 생산단지 라는 것이 더욱 큰 의미가 있겠지만 현재로써는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입구쪽에 뭔가 공사를 하고 있으니 좀 더 나은 모습으로 바뀌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잎이 너무 투명해서 속 꽃 잎이 보일 정도로 맑은 날씨였습니다. 신기하기도 하고 예쁘기도 합니다. 도착 했을 때는 잎이 쩍 벌어져 있었는데 둘러보다 보니 어느새 꽃 봉오리들이 하나 둘 닫혀 있습니다.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맑은 날과 비오는 날의 차이점이라면 바로 이것입니다. 비가 오는 날이나 비가 온 후에는 이렇게 연 밭 사이로 들어갈 수가 없을 정도로 길이 질척입니다. 결국 이것 저것 조성해 놓은 곳으로만 다녀야 한다는 얘기죠. 맑은 날에는 깊은 곳까지 들어가서 내 키와 연의 크기도 한번 쟤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아마도 개구리가 하늘을 바라본다면 이렇게 보이겠죠? 거대한 지붕이 수도 없이 널려 있으니 정말 자연을 벗삼은 지붕이라 말 할 수 있겠습니다. 날씨가 너무나 맑아서 아래에서 바라보는 연 잎의 모양까지 전부 보이네요.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개인적으로는 활짝 핀 연꽃 보다는 이렇게 봉오리가 닫혀 있는 꽃이 예쁘더군요.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KOREA l 시흥 연꽃 테마단지 l 더공

 
연꽃 감상시간은 오전 9:00 ~ 14:00까지라고 나와 있지만, 오후에 가도 연꽃을 관람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연꽃이 활짝 피는 시간이 오전부터 낮 두시라는 얘기입니다.
 
지금 보이는 길은 연꽃 테마단지 옆으로 나 있는 자전거 길 입니다. 물왕저수지부터 갯골 생태공원까지 쭉~ 이어져 있으며 많은 분들이 즐기시는 길이기도 합니다. 대중교통이 어렵다면 자전거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연꽃 테마단지 내부에서는


- 자전거는 타고 다니지 말아 주세요. 바로 옆에 자전거 도로가 시원하게 잘 뚫려 이습니다. 자전거는 그곳에서 타시고, 연꽃 테마단지 안에서는 아이들과 연꽃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제발 자전거는 한쪽에 세워 두시고 관람 부탁드립니다.

- 예쁜 사진을 찍으시고 연꽃은 그대로 놔 두세요. 일부 사진작가님들 께서는 좋은 구도 잡는다고 연꽃을 이리저리 손으로 움직이면서 망가뜨리시더군요. 다른 분들을 위해 그모습 그대로 남겨 두는 미덕을 부탁드립니다.

- 사진 촬영하신다고 다른 분들에게 비켜라 뭐해라 명령조로 말씀하지 마세요. 다 똑같이 구경 온 분들입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관곡지>에서 <월곶>쪽으로 조금 내려가면 <시흥 갯골생태공원>이 나옵니다. 거리상으로는 멀지 않지만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연성지구에서 내려 걸어 들어가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공사가 완료되면 시내버스가 들어오는 코스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이 찾고 있지만 홍보만 잘 하면 정말 많은 사람이 찾겠다 싶은 곳이 바로 <시흥 갯골 생태공원>입니다. 바로 눈 앞에 살아있는 해양 생물들이 먹이를 먹고, 집을 짓고, 울창한 갈대숲이 보이는 곳은 정말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한참을 걷고 길가에 핀 꽂도 보고, 갯벌에 사는 생물들도 보다보니 시간이 금방 흐릅니다. 천천히 걸어서 돌아본다면 약 2시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나중에 자전거를 가지고 와서 슬슬 둘러봐야 겠습니다. 마냥 걷기엔 너무너무 넓어요.

옛날에는 소래부터  이곳까지 까마득히 넓은 곳이 전부 소금을 채취하는 염전지역이었습니다. 염전 체험도 할 수 있다고 하니 아이와 같이 가실 일이 있으시면 미리 알아보고 가세요~ ^^


시흥 여행코스
관곡지(베슬구지) / 연꽃테마단지 → 시화 갯골생태공원 → 소래포구 로 돌아보는게 가장 좋은 코스인 듯 싶더군요. 자전거를 이용한다면 물왕저수지 → 연꽃테마단지 → 시흥 갯골 생태공원 → 소래포구 코스가 좋습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포스트가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매번 늦어지지만 올리기 전에 그곳이 제대로 남아 있는지 검색도 해보고 뉴스도 검색을 해보는데..
시흥갯골생태공원에 많은 변화가 있는 듯 싶더군요. 

현재 시흥갯골생태공원은 공사중입니다. 2012년까지 뭔가를 한다고 하는데 어떨런지 모르겠습니다. 위 사진에 공사중이라고 붙여진 곳에 지금은 높은 가림막이 설치되고 한창 공사중이라 아래 접어 놓은 곳의 풍경은 현재 보실 수 없습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이곳의 많은 부분이 ㈜성담 (이마트 시화점 프랜차이즈) 소유로 들어가 있죠. 2007년 시흥시가 염전 창고를 문화재 지정 3일 전에 ㈜성담 에서는 25개를 임의대로 철거를 해버린 후 사과문을 발표합니다. 탈선, 안전사고, 쓰레기 등의 문제로 철거를 했고, 시에서 관리 하고 있는 두 개는 남겨 뒀다는 것이 요지였죠. 

또한 골프장을 건설하겠다고 으름장으로 놓기도 하고, 그동안 시흥주민들이 이용하던 길을 막아버리는 횡포를 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얼마전까지도 길을 막아 놨었는데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잘 보존하고 가꾸면 수십년 수백년동안 별다른 투자 없이 관광 수익으로만 엄청난 부가 수익을 가져올 수 있는 이러한 곳을 한 회사가 가지고 있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기사 보러 가기 -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2010년5월 현재 공사중)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바닷가에서 흔하게 자라는 1년초로서 잎이 솔잎을 닮아서 "갯솔나물" 이라고도 한다. 청산별곡에 나오는 "나마자기"가 바로 이 나문재이다. 잎이 가늘고 길쭉하고 둥글며 매우 부드러운 느낌이다. 어린잎은 먹을 수 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칠면초
바닷가에서 흔히 군생하고 털이 없는 1년초로써 바닷물이 드나드는 염습지에 넓게 분포하며, 1년에 7가지 색깔로 변한다 하여 칠면초라 한다.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홍차색으로 변하여 바닷가를 붉은색으로 예쁘게 단장한다. 
(2010년5월 현재 공사중)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오래전 염전이었을 당시의 타일이 깔려 있습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예전에는 소금 창고로 썼던 창고도 그대로 있습니다.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고 하네요.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이곳에서는 실제로 소금을 채취합니다. 방문 했을 때도 몇몇 분이 작업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중간에 공원도 마련이 되어 있습니다. 중간 중간에 쉴 수 있는 의자가 많아서 좋더군요. 현재 양쪽으로 생태공원 조성사업이 진행중인데 잘 만들어서 오래오래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토끼풀이 아~주 우거져 있었습니다. 넓은 잔디밭도 있고, 해마다 행사도 하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분들이 찾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2010년 행사는 아직 공지가 없네요. 공사 끝날 때 까지 건너 뛰려나..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바닷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곳에는 이렇게 길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저 멀리 까지 가서 직접 해양 생물들을 볼 수가 있습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왼쪽에 보이는 작은 집 같은 곳은 물길이 있는 곳입니다. 만들어 놓기는 잘 만들어 놨더군요. 바로 아래 뻘을 들여다 볼 수가 있습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오호~~ 뜻밖에 게 여러 마리가 구멍을 들락날락 거리며 먹이를 먹고, 싸우고 하면서 움직입니다. 카메라를 들이대자 처음에는 도망치더니 나중에는 위혐하듯 큰 집개발을 휘두르더라고요.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잠시 나무 그늘에 앉아 캔 커피 한잔 마시고, 카메라 점검하고 아무 생각 없이 앉아 있었습니다. 키 큰 아카시아 나무 아래에서 시원한 바람 맞으며 쉬는 것도 나름대로의 매력이더군요.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이게 뭔가~ 하고 봤더니 엄청난 코스모스밭이더군요. 일부는 벌써 꽃을 피웠네요. 가을에 찾아오면 정말 환상적일 거라 예상해 봅니다.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깊이가 상당했습니다. 물이 가득 찼을 때 빠지면 나오지 못할 정도로 깊더군요. 사진에 찍힌 나무의 높이가 4~6미터 정도 되는데 물길의 깊이를 한번 보면 대충 깊이가 상상이 되죠?
경기 l 시흥 l 갯골생태공원 l 더공
자료 :
시흥시청 - http://www.siheung.go.kr/
시흥갯골축제 홈페이지 - http://www.sgfestival.com/


시흥 갯골생태공원 대중교통
안양 : 32번. 정왕역 : 25번. 안산역 : 30-7번. 부천역 : 61번. 소사역 : 63번
※ 교통편이 어려우신 분들은 시흥시청쪽으로 가셔서 <연성지구>쪽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해서 <연성지구>쪽에서 내리면 됩니다. 걷는 거리가 다소 되지만 현재로써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자가용
시흥갯골생태공원 찍고~ 네비게이션 이용.
월곶IC에서 시흥시청 쪽으로 15분. 목감 IC에서 월곶 방향으로 20분. 신천 IC에서 25분. 시흥 IC에서 30분.
※ 84번 국도를 이용. 시흥시청에서 월곶 방향으로 가다가 <연성지구>에서 우회전 해서 들어가는게 가장 편하더군요.




HTTP://REDTOP.TISTORY.COM   ⓒ 더공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안양에서 가까운 시흥 연꽃테마파트와 관곡지(베슬구지, 벼슬구지, 직곶)에 가봤습니다. 현재 사진에 보이는 곳은 안동권씨 화천군파의 건물입니다. 많은 분들은 연꽃테마파크가 베슬구지(관곡지)라고 알고 있는데 실제는 이곳에서 시작되어 현재의 넓은 연꽃 테마파크가 형성이 되었죠. 저녁시간에 찾아가서 그런지.. 관리하시는 아저씨께서 문 닫고 나가시려는 것을 사진만 좀 찍겠다고 허락받고 찍었습니다.

개인소유의 사유지이기 때문에 개방시간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안동권씨 화천군파의 소유지로 들어가 보면 정원이 보이고 정원에는 몇몇 조각품이 있습니다. 집 내부는 현재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들어갈 수는 없었는데 주변의 풍경을 바라보기에는 부족함이 없더군요.

시흥시 안내 글에도 나와 있듯이 관곡지는 베슬구지(벼슬구지,직곶)로 하루빨리 이름이 바뀌어야 합니다. 그런데 시흥시청에서는 몇년이 지나도록 아무런 조치를 취하고 있지 않습니다. 주변 도로만 갈고 닦고, 주차장만 만들 생각 하지 마시고, 가장 기본이 되는 것부터 바로 잡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대중교통
- 부천 : 소사역에서 63,마을버스1-1번 이용, 부천역에서 61번버스
- 서울 : 영등포역에서 6640번 버스 동아성원아파트정류소에서 하차
- 시흥 : 오이도역에서25번 버스 이용
- 안양 : 32번 버스 이용 시흥중고 맞은편 하차
자가용
아래 주소 네비게이션. 시흥 연꽃 테마단지.
- 주소 : 시흥시 하중동 208번지




HTTP://REDTOP.TISTORY.COM   ⓒ 더공  



     오이도 북적이는 주말을 피해 가본 오이도

     수없이 올라오는 오이도의 멋진 모습이었을까? 오이도까지 가는 동안에 약간은 두근거리기까지 한다. 새로운 곳을 본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설레임은 충분하다. 안양에서 오이도까지 가는 한시간 동안 그 두근거림은 설레임으로 바뀌었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만을 바랬다. 하지만 출발 부터 하늘은 비가 내리고 있었고, 바람부는 추운 날씨는 손을 오그라들게 만들었다. 말로만 듣던 손발이 오그라든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란 말인가. 추운날은 사진 찍기 좋아 하는 사람들에겐 너무나 고통스러운 날이다.

     안양에서 한시간을 달린 후에 도착한 오이도의 모습은 다소 실망스러웠다. 너무나 황량한 모습과 여느 해수욕장처럼 즐비한 횟집에 기가 질려버렸다. 바다의 모습이나 아기자기한 모습은 전혀 찾아 볼 수 없었고, 쿵짝 대는 뽕짝 음악소리는 머릿속까지 울려댔다. 화장을 곱게 하신 아줌마들은 조개구이 먹고 가라고 저 멀리서부터 손짓을 하지만 이미 밥을 먹고 왔기에 다음으로 미룬다.

     까마귀의 귀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오이도[玉貴島]라고 붙여졌다는데.. 까마귀도 귀가 있던가?? 어쨌든 현재의 모습은 일제 강점기때 염전으로 이용됐던 곳을 매립하면서 그냥 반듯반듯한 길과 그 위에 즐비하게 들어서 있는 음식점과 건물이 들어서 있다. 그곳이 오이도라는 것은 "오이도"라고 쓰여 있는 작은 바윗돌 문구에서나 확인 할 수 있다.

     다음번 출사에는 염전 지역에도 한번 갔다 와야겠다. 오늘은 포구 모습만 담아본다. 워낙 날도 안 좋고 추운 날씨에 비까지 오락가락하니 더더욱 출사하기 힘든 날씨다. 낙조까지 기다릴 필요도 없이 그냥 오이도의 주변 모습만 찍고 바로 귀가했다. 밤에 술 먹으러 오면 좋긴 하겠다.



















































PHOTOGRAPH BY LEE. DEOK-YONG
COPYTIGHT ⒞ DUGONG ALL RIGHT RESERVED
REDTOP.TISTORY.COM

이 별에 대처하는 방법 - 더공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