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뷰로 글을 송고하시는 분들 중에서 분명 오늘 방문자는 많은데 어디서 들어오는지 잘 모르겠다. 또는 베스트도 아닌데 어디서 클릭해서 들어오는지 잘 모르겠다 싶으신 분들에게 살짝 알려드립니다.
다음뷰에는 출구가 여러군데 있습니다.
처음 글을 송고했을때의 각 카테고리가 있고, 메인과 연결된 곳, 우측에 연결된곳, 베스트에 연결된곳 그야말로 자신의 포스팅이 사방팔방으로 노출이 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
v.daum.net/link/26898872?&CT=ER_POP
위의 유입경로를 보면 온갖 숫자와 알파벳이 보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알파벳이 써져 있는 것만으로도 어디서 유입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저 글은 VIEW 두번째 카테고리에 있습니다.
다음뷰에는 출구가 여러군데 있습니다.
처음 글을 송고했을때의 각 카테고리가 있고, 메인과 연결된 곳, 우측에 연결된곳, 베스트에 연결된곳 그야말로 자신의 포스팅이 사방팔방으로 노출이 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
v.daum.net/link/26898872?&CT=ER_POP
위의 유입경로를 보면 온갖 숫자와 알파벳이 보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알파벳이 써져 있는 것만으로도 어디서 유입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저 글은 VIEW 두번째 카테고리에 있습니다.
■ 찾아가 보겠습니다.
DAUM 메인에 있는 view 카테고리에서 자신의 글과 가장 유사성이 있는 글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그날 daum의 이슈가 되는 두번째 페이지로 이동을 합니다.
이 두번째 메인 페이지가 CT=ER_POP 페이지 입니다. TOP에 노출된 글은 방문자 숫자도 많고, 추천 숫자도 많고 말 그대로 하루종일 방문객이 많이 찾는 날이죠. 굳이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바로 접근할 수 있는 페이지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들어오시는 페이지입니다.
그리고 그 페이지에 같이 노출된 많은 글 또한 작지만 큰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게 되는 것이죠. 왜 그런지는 아래에 있는 이미지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날 daum의 이슈가 되는 두번째 페이지로 이동을 합니다.
이 두번째 메인 페이지가 CT=ER_POP 페이지 입니다. TOP에 노출된 글은 방문자 숫자도 많고, 추천 숫자도 많고 말 그대로 하루종일 방문객이 많이 찾는 날이죠. 굳이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바로 접근할 수 있는 페이지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들어오시는 페이지입니다.
그리고 그 페이지에 같이 노출된 많은 글 또한 작지만 큰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게 되는 것이죠. 왜 그런지는 아래에 있는 이미지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각 카테고리별 고유 식별 알파벳
daum view 홈 버튼을 눌렀을 때
CT=H_ "H"는 홈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http://v.daum.net/link/26898872?&CT=H_A_POP 이라고 한다면 view 홈에서 A는 "문화연예" 카테고리에서 들어온 것이라고 알 수 있습니다.
CT=H_A_POP - view 홈 문화연예 탭
CT=H_L_POP - view 홈 라이프 탭
CT=H_T_POP - view 홈 IT 탭
CT=H_S_POP - view 홈 스포츠
CT=H_E_POP - view 홈 경제
CT=H_C_POP - view 홈 시사
CT=SNS 소셜이슈
CT=B_NEWS 베스트 뉴스
CT=B_IMG 베스트 이미지 (베스트 메뉴중 이미지 탭)
CT=L_POP 라이프 카테고리
CT=A_POP 문화연애 카테고리
CT=T_POP IT 카테고리
CT=S_POP 스포츠 카테고리
CT=E_POP 경제 카테고리
CT=C_POP 시사 카테고리
daum view 홈 버튼을 눌렀을 때
CT=H_ "H"는 홈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http://v.daum.net/link/26898872?&CT=H_A_POP 이라고 한다면 view 홈에서 A는 "문화연예" 카테고리에서 들어온 것이라고 알 수 있습니다.
CT=H_A_POP - view 홈 문화연예 탭
CT=H_L_POP - view 홈 라이프 탭
CT=H_T_POP - view 홈 IT 탭
CT=H_S_POP - view 홈 스포츠
CT=H_E_POP - view 홈 경제
CT=H_C_POP - view 홈 시사
각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 했을 때의 경로
CT=SNS 소셜이슈
CT=B_NEWS 베스트 뉴스
CT=B_IMG 베스트 이미지 (베스트 메뉴중 이미지 탭)
CT=L_POP 라이프 카테고리
CT=A_POP 문화연애 카테고리
CT=T_POP IT 카테고리
CT=S_POP 스포츠 카테고리
CT=E_POP 경제 카테고리
CT=C_POP 시사 카테고리
생각보다 쉬워요
온갖 알파벳이 섞여 있어서 다소 어려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H는 홈, MY는 내꺼, RIGHT는 베스트, A는 문화 이렇게만 외워 놓으면 다음은 어렵지 않습니다. 각 카테고리의 고유 알파벳과 그 뒤에 따라오는 알파벳을 기억한다면 어디서 클릭해서 방문객이 들어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가끔 물어보시는 분이 계셔서 정리해 봤습니다.
※ 가끔 보면 저런 시스템을 이용해서 글을 올리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사실, 블로그 운영하는데 있어서 저 카테고리를 이용하는 것이 옳다 아니다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일회성 방문객 숫자가 중요한게 아니라는 것이죠. 검색으로 블로그에 들어와서 목적에 맞는 정보를 얻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블로그는, 검색의 정확도에 내용이 얼마나 충실하느냐가 제가 말하고자하는 바입니다.
※ 제가 유입경로를 보는 이유는 딱 한가지 입니다. 검색으로 들어오시는 분들이 그 검색어에 맞게끔 제 블로그의 내용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어디에서 어디가는 방법"으로 검색해서 들어왔는데 제 포스팅에 그에대한 정보가 없다면 다시 추가해 넣는 방법으로 업데이트를 합니다.
온갖 알파벳이 섞여 있어서 다소 어려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H는 홈, MY는 내꺼, RIGHT는 베스트, A는 문화 이렇게만 외워 놓으면 다음은 어렵지 않습니다. 각 카테고리의 고유 알파벳과 그 뒤에 따라오는 알파벳을 기억한다면 어디서 클릭해서 방문객이 들어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가끔 물어보시는 분이 계셔서 정리해 봤습니다.
※ 가끔 보면 저런 시스템을 이용해서 글을 올리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사실, 블로그 운영하는데 있어서 저 카테고리를 이용하는 것이 옳다 아니다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일회성 방문객 숫자가 중요한게 아니라는 것이죠. 검색으로 블로그에 들어와서 목적에 맞는 정보를 얻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블로그는, 검색의 정확도에 내용이 얼마나 충실하느냐가 제가 말하고자하는 바입니다.
※ 제가 유입경로를 보는 이유는 딱 한가지 입니다. 검색으로 들어오시는 분들이 그 검색어에 맞게끔 제 블로그의 내용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어디에서 어디가는 방법"으로 검색해서 들어왔는데 제 포스팅에 그에대한 정보가 없다면 다시 추가해 넣는 방법으로 업데이트를 합니다.
TAG BEST,
Blog,
blog 유입경로,
CT=R,
it,
View,
view 카테고리,
view 코드,
다음뷰 베스트,
다음뷰 유입경로,
다음뷰 코드,
더공,
블로그,
블로그 만들기,
블로그 유입경로,
유입경로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 그게 그런 뜻이군요. 전 다음뷰를 쓰지 않지만 재밌네요.
2012.04.08 13:35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꺄아~!!! 어떻게 이렇게 정리를 -ㅎ
2012.04.08 13:5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대충은 저도 눈치로 알고는 있었지만 선명하게 정리를 해 놓으셨네요.
이렇게 깔끔하게 도표로까지 만들어서 -
시스템을 이용해서 글을 적는 분이 있다니 - 그게 더 놀랍네요. 그걸 어떻게 이용하는지 알아낸 게요.ㅎ
다 분석하셨군요 ㅎㅎㅎ
2012.04.08 13:53 [ ADDR : EDIT/ DEL : REPLY ]헛갈렸는데
2012.04.08 13:54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잘 정리해 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비밀댓글입니다
2012.04.08 15:12 [ ADDR : EDIT/ DEL : REPLY ]아하.. 그게 저도 궁금했었는데... 물어볼사람이 없더라고요 ㅎㅎ..;;
2012.04.08 16:13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다음 뷰에 도통 신경 안쓰고 있어요.
2012.04.08 16:18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그냥 하루 한건 포스팅도 벅찬지라..
호오, 그런 기능이 있었네요...
2012.04.08 19:26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다만.. 아직까지는 뷰를 쓰기에는 오 마이 아미...
비밀댓글입니다
2012.04.08 20:01 [ ADDR : EDIT/ DEL : REPLY ]이런게 있었네요.
2012.04.08 20:5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저도 다음뷰를 쓰지만 이렇게 유입되는지 몰랐네요
에고 어려워라~~
2012.04.08 20:55 [ ADDR : EDIT/ DEL : REPLY ]저도 늘 궁금 했어요
내 블로그에 방문자가 하루에도 몇천명이 되는데,
도대체 어느글에 그렇게 조회가 되는지,
정말 몰랐거든요
더공님 글이 조금 어렵지만,
여러번 읽어 보아야 겠네요
오호.. 부과효과군요. ㅎㅎ
2012.04.09 07:30 [ ADDR : EDIT/ DEL : REPLY ]아마 제 포스팅 중에서도 그런 것이 있었을 듯.. ^^
전 오늘 유입되는 곳이 워낙 뻔해서요. 요즘엔 관심깊게 들여다보진 않습니다.
2012.04.09 10:06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뷰 사용자들에겐 유용한 정보일듯 합니다.^^;
오호 좋은 정보네요. 대략적으로 그럴거 같다는 생각은 있었습니다만 카테고리 약자까지 정리해주시다니...ㅎㅎ;
2012.04.09 11:16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참 그리고 원래 이런 대형프로젝트는 개발 팀내 공통규격을 만들어 놓고 시작하기 마련이조. 주로 짬빱 높은 개발자가..ㅎㅎ 그리고 아예 다음이라는 사이트 공통적인 변수도 많을거에요.ㅎㅎ
2012.04.09 11:18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아하..! 그렇군요... ^^
2012.04.09 17:25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맞아요, 일회성 유입은 더큰 공허함이 남을 뿐이에요....ㅎㅎ
호오. 저도 무지 궁금하던 건데. 이제야 궁금증이 풀렸네요. :)
2012.04.25 11:53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옹 궁금했는데 문제 해결!
2012.12.26 23:20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